지방의 역할
일부 호르몬을 만들어내고,장기적인 신체활동을 위한 대체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지방이 필요하다.
또한 특정 지용성 비타민의 저장을 위해서도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칼로리 수치를 늘려 신체를 이화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도움를 준다.
주로 불포화지방을 섭취해야 한다(포화지방산은 고기를 먹으면서 충분히 섭취한다).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과 리놀렌산은 신체가 만들어낼 수 없으므로 음식에서 섭취해야 한다.
가장 좋은 공급원은 연어, 정어리, 고등어, 송어, 아마유 등이다. 체지방과 혈중 지질수치의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지방 섭취를 1일 열량 섭취량의 15%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우리가 음식에서 지방이라고 부르는 것은 실제로는 지질로 구분되어지는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지질은 유기물질로 구분되며 불수용성이지만 알코올이나 이터와 같은 특정 솔벤트에 용해되기도 한다.
인간에게 중요한 세가지 지질은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그리고 인지질이다.
이 세가지는 모두 인체 내에서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음식에서 지방의 함유량은 대부분의 쿠킹오일에서 보듯이100%에서부터 과일과 채소에서 보듯이
5-10%까지의 차이를 보인다.
물론 당연히 지방을 많이 포함한 음식도 있다.
버터,오일,쇼트닝,마요네즈,마가린,육류의 기름덩어리.
그러나 다른 음식에서는 지방 함량이 높지만 명백히 보이지 않는 것들도 있다.
이를 숨은지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우유, 치즈, 씨, 디저트, 크랙커. 포테이토칩 그리고 상업적으로 가공된 음식들은 상당량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5온스의 베이크 포테이토는 145cal 중 3%의 지방을 함유한 반면, 포테이토칩 5온스는 795cal이며 60% 이상
이 지방으로 이루어져있다.
일반적으로, 육류와 우유 종류와 같은 동물성 음식에는 지방, 특히 포화지방이 다량 함유되어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음식의 사려있는 선택과 조리로 상당량의 지방을 줄일 수 있다.
고기에서 지방의 함량은 많은 차이가 날 수 있다. 육류에서 쇠고기와 돼지고기류는 보통 70% 이상의 많은 칼로리를
지방이 차지하고 있다.
트랜스지방산은 자연적으로 쇠고기, 버터, 우유에 소량포함 되어있지만 튀긴음식이나 시중에 나온 완제품 음식들
특히 마가린이나 칩, 케익, 쿠키와 같은 음식에는 상당량 포함되어있다.
대부분의 식물음식, 즉 채소, 과일, 콩류, 그리고 자연산 곡물에서는 지방의 함량이 적다.
그리고 이 지방들마저 불포화지방들이다.
반면에 식물에서 너트나 씨, 아보카도는 상당한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불포화들이다.
그러나 코코넛팜커넬은 총지방량과 포화지방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일상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곤란 증상이란? (0) | 2021.02.09 |
---|---|
무기질의 축척은 각종 질병의 원인 (0) | 2021.02.09 |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기관지천식이 발생할 수 있다 (0) | 2021.02.09 |
수용성비타민과 지용성비타민이란? (0) | 2021.02.08 |
호르몬 테스토스테론치가 낮아지면 내장지방 비만으로 된다. (0) | 2021.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