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후 검진 결과에 대해서 본인의 몸상태에 대해서 조금 더 알기 쉽게 풀이하고자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건강검사 결과의 평가
호흡/순환계 검사
맥박수
정상범위 : 60-100회/분
빈맥(발열, 심부전, 갑상선기능항진, 폐결핵이 원인) : 100회/분 이상
서맥 : 60회/분 이하
혈압
심전도 검사
(심장근육이 수축할 때마다 발생하는 미량의 활동 전류의 변화를 도형으로 기록한 것으로 파형의 크기, 간격, 방향등의 형태로 심장의 기능을 진단하는 것)
폐기능 검사
노력성 폐활량(폐활량) : 예측 폐활량의 80% 이상
1 초율(1 초량/노력성 폐활량) : 70% 이상
흉부 X-선 검사
소변검사
뇨산도(체내 대상의 이상 유무)
정상치 : 4.5-8.0
2) 요 비중(신장질환을 짐작)
정상치 : 1.012(이하 신장의 요농 축력이 저하되는 만성 신장염이나 요붕증이 의심)-1.030(이상 요가 지나치게 농축되는 심부전증, 당뇨병, 탈수증)
3) 요단백
신장에 요가 만들어질 때 혈중 단백은 사구체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나오지 않는다, 40-80mg/day
정상치 : 음성
4) 요당
혈당이 한도(170mg 전후)를 넘게 되면 흡수되지 못한 당이 오줌으로 나온다
정상치 : 음성
5) 잠혈(요속에 적혈구가 섞여 있는지의 유무를 화학반응으로 조사)
출혈성 방광염이나 요로결석
정상치 : 음성
6) 빌리루빈(적혈구가 간장에서 분해될 때 만들어지는 담즙 색소)
황달이나 간 기능장애의 조기발견- 정상치 : 음성
7) 유로빌리노겐
간의 장애나 적혈구가 파괴되어 용혈이 일어나면 요중의 유로빌리노겐이 많아진다
정상치 : 약양성(±)
8) 요 케톤체
정상치 : 음성
혈액검사
가. 혈액학적 검사
1) 백혈구 검사
정상치 : 4.5-10(103/mm3)
2) 적혈구 수(빈혈)
3) 헤모글로빈(철분결핍성 빈혈)
4) 혈구용 적치
5) 혈소판수
정상치 : 15만-40만/㎕
간 기능 검사
간세포 내의 효소의 활성도와 간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받는 물질의 혈중 농도를 생화학적 검사
1) 혈청 총 단백과 알부민
고단백 혈증 : 혈청 총 단백 농도 8.5g/dl 이상
저단백혈증 : 6.0g/dl
2) GOT와 GPT
간세포에 함유된 효소
간세포가 깨지거나 간세포막의 투과성이 높아지면 이들 효소는 혈액 속에 유출되어 증가한다
3) 감마 GTP
알코올이나 약물로 장애가 생기면 감마 GTP가 대량 만들어져 혈중에 증가
알코올에 대한 간장애의 지표
4) 알카라인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골 조성이나 영양소 등의 운반에 관여
담즙의 흐름이 장애를 받으면 혈액 속에 ALP가 증가하기 때문에 담관계 효소
5) 혈청 빌리루빈
적혈구 중의 헤모글로빈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색소
정상치 : 총 빌리루빈(0-1.20mg/dl), 직접 빌리루빈(0-. 25mg/dl)
6) B형 간염 바이러스 항원-항체 검사
심장 및 지질검사
심장 근육에 포함된 효소와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지질을 검사하여 심장의 질환 여부와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검사
1) 크레아틴 키나아제
골격근이나 심근 등의 근육세포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의 일종
CK-BB(뇌, 척수), CK-MM(골격근), CK-MB(심장근육)
2) 유산 탈수소 효소 (LDH)
조직세포 중에 함유되어 있어 세포가 파괴되면 혈중 LDH는 높아진다
3)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을 유발하는 위험성 인자
4) LDL-HDL
5) 중성지방
신장기능 검사
체내에서 대사 되어 신장으로 배설되는 물질의 혈중농도를 측정하여 신장의 기능 검사
1) 요소질소
혈액 중에 정체되어 혈중 요소질소 농도가 높아진다
정상치 : 8-20mg/이(40mg/dl 이면 신부전)
2) 크레아틴
정상치 : 0.6-1.2mg/dl (2.5mg/dl 이상이면 신부전)
3) 요산
혈액 속에 용해되지 못해 혈관 밖으로 빠져나와 결정화 아여 관절이나 내장에 침착 통풍이나 신장애(신장결석)
당뇨검사
혈액의 포도당 농도가 헤모글로빈 AIC
1) 혈당
당뇨병 진단 : 공복 시(140 mg/ dl 이상), 식후 2시간(200 mg/dl 이상)
정상치 : 75-115 mg/dl
2) 헤모글로빈 AIC
글리코 헤모글로빈( 적혈구의 수명과 관계)
정상치 : 4-8%
염증성 질환 검사
몸안의 염증반응이나 면역반응이 일어나면 나타나는 검사항목
'일상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맥경화증 원인이란? (0) | 2021.02.01 |
---|---|
술은 스트레스를 해소가 가능할까? (0) | 2021.01.30 |
담석과 신장결석에 대해서 (0) | 2021.01.27 |
냉온욕으로 몸 건강을 챙기고 혈관 건강과 혈액순환 (0) | 2021.01.27 |
물의 인체에 대한 효과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