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심전도 검사방법이란?
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건강정보

심전도 검사방법이란?

by 만돌이님 2021. 2. 4.
반응형

심전도 검사

심장은 혈액이라는 순환 매체를 순환시키는 펌프의 역할을 하는 근육 장기로서 그 운동이 미세한 전기로서

조절되고 있다.

그리고 심장을 이루는 심근세포 하나하나에서 나오는 미세한 전기적인 변동을 합쳐서 하나의 커다란 파형으로 증폭하여

기록한 것이 심전도이다.

따라서 심전도의 변화란 곧 심전도를 발생시키는 심장근육의 변화 즉 심장운동의 변화를 뜻한다 하겠다.

이 전제는 앞으로 부정맥질환이나 심전도 소견을 해석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제이므로 항상 기억하는 것이 좋다.

 

심장 구조를 (conduction system), 혈액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판막 구조(cardiac valves),

심장 자체의 영양과 산소공급을 담당하는 관상동맥계 그리고 심장을 싸고 있는 심낭으로 나눌 수 있겠다.

이번 에는 심장의 전기 전도계의 구성과 심전도 기록의 기본 원리 그리고 심전도 판독에 있어서의 중요한 원칙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심장의 전기 전도계는 맥을 만드는 진원지인 상 결절(sinus node), 심방 근육,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기 전달을 중계하는 방실 결절(, atrioventricular node. 이하 AV node), 방실 결절에서 출발하여 심실로 빠르게 전기

달해 주는 역할을 하는 His-Purkinje fiber 그리고 심실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아주 특징적이고 독특한 전기적인 성질을 갖고 있다.

 

 


상결절은 상대정맥과 우심방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며 심장세포 중에 가장 스스로 흥분할 수 있는

자동능(autonomicity)이 가장 강한 부위로서 정상적인 맥이 시작되는 부위이다.

상 결절은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되며 대개 안정 시에는 분당 60 내지 100회 뛰다가 운동을 하거나 흥분하게 되면

교감신경 계가 활성화되어 상 결절의 흥분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결절의 기능이 약화되어 맥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질환을 상 결절 기능부전증 후군

 (sick sinus syndrome)이라 한다.

 

 

상 결절에서 시작된 전기 흥분은 심방을 따라 전파되어 심방을 흥분시키어 심방의 수축을 유도한다.

이때 생기는 것이 표면 심전도상의 P파이다.

다시 말하면 심전도의 P파는 상 결절에서 심방까지의 전기활성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P파의 이상소견은 상결절에서 심방 까지의 이상을 뜻한다 하겠다.  

일단 심방을 흥분시킨 전기는 방실 결절을 통하여서 심실로 전달된다.

정상적으로 방실 간의 전기 전달통로는 방실 결절(atrioventricular node)이 유일한 통로이다.

 

방실 결절은 상 결절과 전기적인 성질이 유사하여 상결절 다음으로 자동 능이 강한 조직이다.

또한 세포가 전기적으로 흥분할 때 sodium 의존적이면서 빠른 반응을 보이는 fast-responsive type의 다른 조직

(심방, 심실 그리고 His-Purkinju fiber)과는 달리 calcium에 의존적인 slow-responsive type으로 방실 결절을 지나갈

때 전기 전달의 속도가 느려지는 지연 전도(decremental conduction)의 성질을 갖고 있다.

이 과정은 표면 심전도상 PR interval로 표현되게 된다.

 

​방실결절을 통과한 전기는 His-purkinje fiber를 통하여 좌우 심실로 확산되는데 이때 기록되는 것이 표면 심전도의

QRS 파형이다.

그러면 심전도의 분석에 들어가 보자. 심전도는 심장 각 세포의 전기적인 활성이 종합되어 기록된 결과라 하였다.

다시 말하면 앞서 언급한 심장의 전기 전도계 각 부위의 활성이 종합적으로 기록된 결과인 것이다.

따라서 심전도의 분석 역시 이러한 전기 전도계의 해부학적인 구성을 유념하여 시행하는 것이 좋은데 이러한 분석방법을 segmental approach라 한다.

위 그림은 심전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단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그 단위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파형(wave) : P wave, QRS complex

P wave : 상 결절에서 시작한 심방의 전기적인 활성

QRS complex : 방실 결절 이후 His-Purkinje fiber에서 심실 근육의 전기적인 활성

T wave : 심실근육의 재분극 시기(repolarization period)

(2) Interval :PR interval, QR interval

PR interval : 상 결절에서 시작하여 방실 결절을 경유하기까지의 전기활성

Qtinterval : 심실의 재분극 시기를 반영

(3) Segment : ST segment, PR segemtn, TP segment

ST segment : 심실 재분극의 초기로서 심실의 재분극 이상을 반영

PR segment : 방실 결절의 전기 전달을 반영

TP segment : 심전도의 전기적인 기준선(isoelectric line; reference line)

이제까지는 심장의 전기적인 현상을 주로 다루었다.

이러한 전기적인 현상이 심장의 수축이라는 기계적인 결과를 만드는 중요한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는 근육 생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전기적인 흥분은 심근세포의 수축(contraction)과 연관되어 있다는 Excitation-Contraction Coupling이라는

과정이다.

심근세포는 안정 시에는 세포 밖이 음으로 대전되어 있다가 (polarized) 어느 한 시점에 자극을 주었을 때는 그 시점에서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과 가 순간적으로 바뀌게 된다. +와 가 바뀌는 것을 탈분극(depolarization)이라 한다.

리고 그 자극이 없어졌어도 계속해서 세포막을 따라 탈분극이 세포 전체로 퍼져나가는 데 이처럼 한번 자극이 되면

그 자극이 전체로 파급되는 성질을 가진 세포를 흥분성(excitability)을 가진 세포라 하며 이러한 조직을 excitable

tissue라 한다.

 

심근이나 신경세포가 대표적인 excitable tissue이다.

이렇게 세포막이 탈분극 되면 그 결과 심근 세포질 내의 calcium농도가 증가되며 calcium ion은 심근세포의 actin과

myosin의 결합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심근세포가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전도의 전기적인 활성과 그 결과인 심장의 운동을 함께 연관 지어 보자. A에서 보듯이 P파는 심방의 수축과 연관되고

PR segment 혹은 interval은 방실 결절을 경유한 전기전도를 뜻하며 QRS파형은 좌우 심실의 수축을 의미한다.

그리고 T파형과 QT interval은 심실의 재분극 시기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심전도상의 각 파형이나 분절의 이상(abnomality)은 연관된 전기 전도계 혹은 심장 부위의 이상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이를 때 표적인 예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P wave : LAE, RAE, Atrial arrhythmia, Sick sinus syndrome

PR interval : AV block

QRS complex : Conduction-BBB, facicular block

Chamber enlargement : LVE, RVE

Ischemia, preexcitation

ST segment & T wave : Alteration of repolarization

Due to conductionaberraton, ischemia or chamber enlargement:strain

QT interval, U wave : Long QT syndrome. Torsades de pointe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