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운동의 이점
심폐 기능의 향상 |
체중 조절 |
산고의 최소화 |
요통예방 |
임신성 당뇨의 예방 |
정신적 이점 |
임산부의 운동 중지 사항
질 출혈의 징후
질로부터 수액의 유출
발목, 손 얼굴의 갑작스러운 부기
지속적 심한 두통, 시력손상, 어지러움
장딴지의 부종, 통증
운동 후 지속되는 증가된 맥박수, 혈압
원인불명의 복통
임신 후기에 불충분한 체중증가(1.0kg/월)
여성의 골다공증의 운동처방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운동 종류
–저항성 운동과 근력운동이 중심이 되며 여기에 유산소성 운동이 포함.
–걷기, 덤벨체조 등이 가장 이상적인 운동
골다공증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운동 종류
–걷기, 수중운동, 의자를 이용한 유산소 운동, 고무줄을 이용한 저항운동.
–조깅, 점프, 에어로빅댄스, 테니스 등 충격량이 큰 운동은 골절의 위험이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음.
운동량
–유산소 운동 강도는 최대 심박수의 40-70%, 운동시간은 최소한 20분 이상
–근력운동의 경우 1RM의 30-40%, 2-3세트씩 8-12회
골다공증의 원인
뼈는 끊임없이 골흡수와 골형성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대사 기관으로 최대 골량의 형성이 부실하거나
골흡수와 골형성의 균형이 파괴되어 골량이 감소되어 골다공증이 발생.
폐경 후 에스트로겐의 결핍 -> 제1형 골다공증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골손실 -> 제2형 골다공증
여러 가지 질병에 의해서 골밀도가 감소되는 이차성 골다공증
유전적 영향과, 칼슘 섭취의 부족, 운동부족, 과음, 흡연, 카페인 과용 등이 골 소실의 원인
'일상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증이란? (0) | 2021.06.11 |
---|---|
만성피로에는 단식의 필요성 (0) | 2021.06.11 |
웃음의 효능이란? (0) | 2021.06.08 |
보약을 먹는 시기와 보약의 효능 (0) | 2021.05.25 |
영양학이란?영양학이란 ? (0) | 2021.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