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옥시토신 호르몬과 사회불안장애 상관관계
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건강정보

옥시토신 호르몬과 사회불안장애 상관관계

by 만돌이님 2021. 5. 14.
반응형

옥시토신은 '사랑의 호르몬'이라고도 한다. 

옥시토신은 태아가 태어날 떄 엄마의 체내에서 다량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옥시토신 호르몬은 엄마가 자연스럽게 아이를 낳게 해줄 뿐만 아니라 엄마와 아이 사이의

감정적 유대를 깊어지게 한다. 

옥시토시은 여성이 출산할 떄뿐만 아니라 포옹을 하거나 입을 맞추고 사랑을 나눌 때에도

분비되면 사람과 사회적 유대감과 친밀감을 좋게 만드어준다.

옥시토신은 두려움과 불안감을 느끼는 부분사람에게도 효과가 있다. 

인위적으로 옥시토신을 투여받은 사람의 편도체 활성화가 낮아지는 결과가 있다.

 

이 결과는 옥시토신이 두려움에 대한 반응을 완화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옥시토신을

투여받은 사람은 전두영이 활성화됐는데, 이는 옥시토신이 두려움에 대한 통제력도 강화해준다는 뜻이다.

 

옥시토신이 사람에게 끼치는 효과는 복잡해서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직접 옥시토신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옥시토신호르몬 통해서 미래에 사회불안장애나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치료하는 데 옥시토신을 사용 하게 될 것이다.

 

사람을 어려워하는 불안장애를 앓는 환자는 무려 전체 인구중 5퍼센트에 이른다. 

20명 중 한 명은 사회불안장애일 수 있다는 말이다. 

사회불안장애는 청소년과 젊은 층에서 흔히 나타나며, 여성의 발병 비율이 남성보다 훨씬 높다.

왜 사람들은 사회불안장애에 걸리는 걸까?

사회불안장애는 유전요인과 심리요인, 환경요인의 합동 작품이다. 

유전요인으로써는 본인의 직계가족 가운데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이 있을 경우 당신이 동일 질환에 걸릴 확률은

보통 사람보다 2~3배 높다. 하지만 사람들의 사회불안장애는 '습득된' 것일 가능성이 훨씬 많다.

사회불안장애는 타고난 것이 아니라 그렇게 키워진다는 뜻이기도하다.

 

또한 불운한 가정 환경에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성장과정에서 충격적인 경험을 했을 때 사람들은

점차 사회불안장애를 갖게 된다. 

 

사회불안장애에는 크게 네 가지 특징이 있다.

1.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느낀다. 

사람이 많은 곳에서 타인의 주목이 대상이 되거나 모임에 참가하거나 업무상 벌언을 하거나 전화를 하는 등의 일을 할때

불안감과 두려움 느끼는 것이다.

 

2. 대인관계에 인지의 왜곡이 있다.

나치게 스스로를 주목해 자기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가 적합하지 않으면 남들에게

미움을 살 것이라 생각하기 떄문이다. 

본인의 자기평가 기준이 높은 편이며 실수를 하거나 남 앞에서 창피를 당할까 봐 두려워한다.

 

3. 스스로 난감한 상황에 맞닥뜨리지 않기 위해 사람이 많은 곳에 되도록 가지 않는다.

 

4. 불안의 정도가 실제의 현상과 동일하지 않는다. 불안에 빠져 있을 떄는 공감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