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하는 것을 평상시와는 다르게 불편하게 느끼는 것 대체로 호흡량이 작고 호흡 횟수가 빠르다
것을 의미한다.
이번 포스팅은 왜 호흡곤란 증상이 발생하는지 증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한다.
기관지 천식이나 심장병과 같은 질병에서 만성적으로 오는 경우가 많으나 기도 내 이물질이나 후두 부종과 같은 급성 호흡곤란으로 응급조치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불안신경증이나 과로, 스트레스에 의한 교감신경 기능의 항진으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원인
1) 폐질환에 의한 호흡곤란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관지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공업화 및 대기오염의 증가에 따라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
흡연과 밀접한 관계(55∼64세 남자 흡연자의 10∼15%에서 발생)
폐침윤성 폐질환 : 결핵이나 세균에 의한 감염, 분진에 의한 직업성 폐질환, 종양, 폐혈관 색전증 등과
같이 폐실질이나 폐혈관의 질병에 의하여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경우
심장질환에 의한 호흡곤란
폐정 맥압의 상승에 의하여 호흡곤란이 유발
운동 시의 호흡곤란, 기좌 호흡,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급성 폐수종 등의 형태를 취한다
심장질환의 원인 : 심부전, 선천성 심장질환, 판막성 및 고혈압성 심장질환
비만, 신경증 등에 의한 호흡곤란
청진 소견, 흉부 X-선 촬영, 폐기능 검사 등에서 모두 소견을 나타냄
자 그러면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관리
1) 급성 호흡곤란의 경우 :
기도의 유지(입 안이나 호흡기 도내의 이물질 제거, 턱을 옆으로 돌려준다)
환기 상태의 개선
인공호흡 등의 응급조치
일반적인 기관지의 보호 및 위생
먼지나 유해물질이 많은 환경을 피하고 금연 적당한 수분 공급으로 탈수를 피하고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고
비만에 대한 체중조절에 유의 특정한 항원이나 약물 등에 과민반응이 있는 경우
원인물질을 알아내어 피하도록 상기도 감염 등을 적절히 치료하고
기관지 확장제 등을 사용 심장질환에 의한 경우 과도한 운동을 피하여
심부전의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 고혈압의 경우 소금 섭취 제한 등에 유의해야 한다.
필수적으로 의뢰를 요하는 경우
- 응급조치로 조절이 안 되는 급성 호흡곤란인 경우
- 건강하던 사람이 갑자기 호흡곤란을 느껴 원인 질환의 규명이 필요할 때,
- 각혈이나 부종, 체중감소 등의 다른 신체증상이 동반될 때
- 알레르기성 혹은 직업성인 천식 또는 폐질환이 의심되나 원인 규명이 어려울 때
- 알고 있는 기존 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이 심해져 일상 활동에 지장을 줄 때
'생활운동건강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받으면 나타나는 증상들 (0) | 2021.01.15 |
---|---|
부종과 비만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0) | 2021.01.15 |
과민성 대장증후군이란? (0) | 2021.01.13 |
종아리 근육마사지와 종아리 근육의 중요성 (0) | 2021.01.12 |
수면 자세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0) | 2021.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