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동맥혈관의 벽이 경화되어 탄력성을 잃고 섬유화 되고 딱딱하게 변하는 질환들을 의미한다.
동맥경화증에는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 혈관내막의 증식과 지질의 침착이 특징)
소동맥 (arteriosclersis ; 소동맥과 소동맥 벽의 증식 또는 유리질 모양 변화가 특징)
중 막 석회화 경화증 (medial calcific sclerosis ; 근육형 동매 주막의 석회화가 특징)이 있다.
1) 동맥경화증 위험인자
① 고혈압
고혈압은 동맥내피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어 동맥경화를 일으키며 허혈성심질환의 위험도 고혈압 환자가
일반인에 비하여 5배 높다.
45세 이후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장기 고혈압이 더 중요한 인자이다.
② 고지혈증(hyperlipidemia)
고콜레스테롤 혈증 및 지질대사이상은 죽상동맥경화증의 중요한 인자이다.
45세 이전에 혈중 콜레스테롤치가 265mg% 이상인 사람이 200mg% 이하인 사람보다 허혈성심질환이 5배 높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약 70%를 운반하는 LDL(low density lipoprotein)과 높은 콜레스테롤치는 죽상동맥경화
를 촉진시킨다.
그에 반해 HDL(high density lipoprotein)은 동맥경화를 방어해 주는 역할을 하며, 남성, 흡연자, 당뇨병 환자, 활동량이
적은 사람은 HDL치가 낮게 나타난다.
③ 흡연
흡연으로 혈관내피의 손상으로 동맥경화증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④ 당뇨병
혈관기저막의 비후로 소동맥 경화증을 일으키는데, 안저(眼底)나 신장의 소동맥에서 관찰할 수 있다.
⑤기타 위험인자
동맥경화증의 기타 위험인자로는 육체적 운동부족, 경쟁적이고 긴장된 생활(특히 A형의 성격), 비만, 경구피임제
사용, 고요산 혈증, 탄수화물 섭취 증가 등의 요인이 있다.
'만성질환건강운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질환에 의한 호흡곤란이란? (0) | 2021.02.07 |
---|---|
비만 아동의 심각성 (0) | 2021.02.03 |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식사관리방법 (0) | 2021.01.30 |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의 대해서 (0) | 2021.01.30 |
신장의 기능이란? (0) | 2021.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