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식사관리방법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건강운동자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식사관리방법

by 만돌이님 2021. 1. 30.
반응형

당뇨병

가. 당뇨병의 정의와 종류

당뇨병은 혈당치의 상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당대사 질환

혈당치에 의한 당뇨병 진단기준

구 분

공복 시 혈당치(mg/dl)

식후 2시간 혈당치(mg/dl)

정상

80~120

140 이하

당뇨병 의심

120~140

140~200

당뇨병

140 이상

200 이상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DDM): 인슐린 결핍, 췌장 베타세포의 파괴가 원인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NIDDM): 인슐린 감수성 저하(인슐린 저항성 증가), 췌장의 인슐린 생산 부담이 증가되어 인슐린 분비기능 약화

임신성 당뇨병(GDH)

 

 

​당뇨병 식사관리

①적절한 영양소와 알맞은 열량 섭취

②정상 혈당치와 혈중 지질 수준 유지

③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 적절한 식사시간과 식사량 조절, 급격한 혈당치 상승 억제

④비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 표준체중의 범위를 유지, 급격한 체중변화에 신경

⑤개인의 조건에 맞는 식생활 계획과 실천

*표준체중(kg) = (신장(cm) - 100) × 0.9

 

 

*1일 에너지 필요량

- 가벼운 활동 시: 표준체중 × 30(kcal)

- 중정도 활동시: 표준체중 × 35(kcal)

- 심 한 활동시: 표준체중 × 40(kcal)

- 격심한 활동시: 표준체중 × 45(kcal)

 

관상동맥 심질환

​가. 관상동맥 심질환의 원인

위험요인: 유전요인, 남성, 가령, 흡연, 고혈압, 고콜레스테롤증, 당뇨,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콜레스테롤 농도: 5.2~6.2 mmol/L(201~240mg/dl) 일 경우 중등도, 그 이상은 고위험군

체중 증가 1kg 당 콜레스테롤 1일 20mg씩 합성

 

3. 고혈압

고혈압의 발생

수축기와 이완기의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

 

세계 보건기구의 고혈압 기준

분류

저혈압

정상혈압

경계 고혈압

고혈압

수축기 혈압

≤100

≤140

140~160

≥160

확장기 혈압

≤60

≤90

90~95

≥95

 

본태성 고혈압: 다른 병과 관계없이 발생한 경우. 비만, 고염식, 과음, 운동부족, 저 칼슘 섭취 등 위험요인의 증가

속발성 고혈압: 만성 신장질환, 내분비계 이상, 약물중독 등 다른 병이 원인

 

고혈압의 예방과 식사관리

①혈압검사와 일반적인 예방법의 생활화

②정상체중 유지

③음식을 싱겁게

④식이 칼륨 섭취

⑤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 감량

⑥알코올 섭취 제한, 흡연 삼가

⑦스트레스 줄이고, 적당한 운동

 

골다공증

가. 골다공증의 원인과 종류

나이, 심한 저활동, 폐경전 난소절제, 코디 토스 테 로이드 사용, 음주, 흡연 등

폐경기 후 골다공증(제1형): 에스트로겐 감소로 폐경기 15년 안에 주로 발생

노화성 골다공증(제2형): 70세 이후 고관절 골절, 가령에 따른 탈무기질화가 원인

 

비만

비만: 신체활동량이 줄어듦에 따라 섭취 열량에 비해 소비 열량이 적어 그 잉여 에너지가 지방으로 바뀌어 피하조직이나

장간막에 과잉 축적된 상태

 

비만과 식사관리

①규칙적 식사관리와 정량 준수

②지방 섭취량 감량

③당뇨 식품교환 단위표 활용한 영양섭취

④0.3~0.5kg 감량목표

⑤1일 800kcal 이하의 극 저 에너지 식이 금지

⑥비타민, 섬유소 섭취

⑦인스턴트, 조미료나 양념 과다 음식 제한

 

고지혈증

가. 고지혈증의 정의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량이 정상치 이상으로 증가한 상태

저밀도 지단백(LDL):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높여 동맥벽에 침착

고밀도 지단백(HDL): 동맥벽에 침착된 콜레스테롤을 떼어서 간에서 분해시켜 배설

 

고지혈증의 식사관리

①정상체중 유지와 에너지 섭취 제한

②섬유소 섭취 증가로 콜레스테롤과 지방 감량

③다가불포화지방산의 주 2~3회 섭취

④식물성, 동물성 지방의 2:1 비율

⑤고지혈증의 식품 선택 표 활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