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밴드와 짐볼을 이용한 오십견 체조 50대에 들어서 갑자기 어깨가 너무 아파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흔히들 ‘오십견’이라 하는데, 40-50대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르지만, 정확한 명칭은 아니다. 유착성 관절낭(또는 피막)염(adhesive capsulitis)이 정확한 명칭이며, 동결견(frozen shoulder)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이해를 쉽게하기 위하여 이하 오십견이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하겠다.
오십견이 찾아오면 어깨가 뻣뻣하고, 심한 통증으로 움직임에 큰 제한을 받는다. 또한, 어깨뿐 아니라
경부(목부위)까지도 통증을 느껴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가사일을 많이 하는 여성들이나 당뇨가 있는 사람에게서 더 빈번히 발생한다.
옷을 입거나 벗기가 힘들고, 등을 긁거나 머리를 빗는 것도 어려우며, 조그만 움직임에도 통증을 느껴 어깨를 움직이는 것이 괴로울 정도다.
오십견의 진단은 과거병력 그리고, 어깨관절의 움직임과 통증을 파악하는 간단한 이학적 검사로 할수 있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 MRI나 어깨에 조영제를 주사한 후 관찰하는 관절조영술을 사용하여 어깨의 관절낭에 상처가 있는가, 구축이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한다.
오십견은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6개월에서 1년이상 지나면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되나 일상생활에 심한 불편을 초래하므로,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
치료법으로는 운동요법, 물리치료, 약물요법등이 있다. 운동요법은 효과도 좋고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지만, 통증이 심하여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적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물리치료나 약물요법을 사용하게 된다. 물리치료는 냉찜질, 온찜질, 전기요법등 다양하며, 약물요법은 소염제나 코티코스테로이드 등을 주사하거나 통증부위를 마취한 후 수동으로 어깨를 움직여 재활하는 방법등 다양하다. 그리고, 증상이 매우 심각한 경우에 수술요법도 실시하게 된다.
지금까지 유착성 관절낭염, 즉 오십견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오십견은 평상시 간단한 운동을 통하여 예방할 수 있으며, 또 치료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운동을 너무 심하게 할 경우는 오히려 더 해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그럼, 지금부터 세라밴드와 짐볼을 이용하여 오십견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간단한 운동을 몇 가지만 알아보자.
세라밴드와 짐볼은 근력을 회복시켜 주고, 자신의 힘으로 팔을 잘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에게 좋은 보조도구가 될 것이다. 아무 도구 없이 하는것보다는 훨씬 재미있다. 조금이라도 시간을 내어 훈련하면 나이를 이기는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다.
1. 짐볼을 가슴에 앉고 한쪽팔을 늘어뜨린후 오른쪽으로 10회, 왼쪽방향으로10회씩 원을
그리며 돌린다(주의 : 이후 모든 동작에서 반대쪽도 실시한다)
2. 짐볼을 옆구리에 끼고 팔을 바깥쪽으로 쭉 밀었다가 돌아오는 동작을
약 10-15회 반복한다(익숙해지면 팔에 점점 힘을 주고 횟수도 늘린다).
3. 짐볼에 팔꿈치를 기대고 앞으로 쭉 밀었다 뒤로 오는 동작을 약 10-15회
반복한다(익숙해지면 팔에 점점 힘을 주고 횟수도 늘린다).
4. 세라밴드의 한쪽끝을 발로 고정시키고 5. 세라밴드의 한쪽끝을 발로 고정
다른 한쪽끝은 손으로 잡고 앞으로 시키고 다른 한쪽끝은 손으로 잡
밀었다가 돌아오는 것을 약 10회정도 고 바깥쪽으로 밀었다가 돌아오는
반복한다. 것을 약 10회정도 반복한다.
'운동재활건강처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처방사의 역할이란 (0) | 2020.11.11 |
---|---|
야구선수 팔꿈치 통증 원인 (0) | 2020.11.10 |
무릎연골손상 전방십자인대 MCL LCL 손상 (0) | 2020.11.10 |
어깨 회전근개 파열이란 (0) | 2020.11.10 |
운동부하검사의 절대적 금기사항 (0) | 2020.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