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순환계의 구성과 기능
순환계는 심장, 혈관계와 혈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1)폐순환과 체순환
▶폐순환: 우심방-우심실-폐동맥 -폐- 폐정맥-좌심방-좌심실
▶체순환: 대동맥 -말초기관(머리, 다리, 팔) 상대•하대 정맥
2)심장주기와 자극 전도계
▶심장주기(심장의 1회 수축 확장): 심장의 주기적 수축과 이완은 우심방(상대정맥의 입구) 에 위치한 동방결절
(sinoatrial node; SA node)에 의하여 조절.
▶자극 전도계(심방과 심실의 수축을 위한 자극의 전달 경로)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AV node)→ 방 실속(bundle of His)→ 퍼킨
지 섬유(Purkinje fiber)
▷동방결절(=심박 조율기)의 전기적 흥분은 거의 동시에 심방 전체를 수축시킴→ 방실결 절이 탈분극 되고 전기적 흥분
은 심실로 전도→ 방실속과 퍼킨지 섬유를 통해 자극은 동시에 심실을 수축시킴.
※ 전기적 흥분이 방실결절로 전도될 때 약간의 시간적 지연(0.1초 정도)이 있는 것은 심실이 수축되기 전에 혈액이 심실
에 채워질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해 주워야 하기 때문이다.
3)혈관과 기능
▶혈액은 좌심실-대동맥-동맥-세동맥-모세혈관-세정맥-정맥-대정맥-우심방으로 돌아옴.
▷세동맥은 주위의 평활근 작용에 의해 직경이 조절됨으로 말초저항을 조절하고, 그 결과 혈압과 각 조직에 대한 혈류의
분배를 조절한다.
▷모세혈관은 물질교환(혈구와 혈장 단백질은 제외)에 기여한다.
▷정맥의 벽은 동맥에 비해 얇고, 유연하고, 안정시 60%의 혈액을 보유하고(혈액 저장 고), 혈액 수용시 내부 압력이 크
게 증가하지 않는다.
▷운동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는 요인
①정맥혈관 수축(정맥 벽은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 는 평활근이 있어 심박출량의 요구가 높으면 정맥혈관의 용적을 줄여
혈액을 심장으로 많이 보냄)
②근육 수축 증가.
③호흡 빈도 증가시켜 정맥혈의 환류를 촉진.
4)혈액과 기능
▶혈액은 체중의 8% 차지함, 세포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45%)과 액체성분(=혈장 55%)으로 구성된다.
▷적혈구: 혈액 세포의 99%, 헤모글로빈 함유, 수소이온농도에 대항하는 화학적 완충제
※ 빈혈은 ①순환하는 적혈구 수의 저하와 ②혈액중의 헤모글로빈 양의 부족 ③두 가지가 동시작용으로 나타 난다.
▷백혈구: 인체의 방어기전, 핵을 가지고 있음, 적혈구보다 큼, 혈관 밖으로 나가 식작용 참여
▷혈소판: 매우 작음, 골수세포의 원형질에서 떨어져 나옴, 혈액응고에 관여,
▶혈장: 상층부의 맑고 연한 딸기색의 액체부분(혈청은 혈액응고 인자를 제외하고는 혈장성 분과 동일함)
혈장량은 가변적임(운동, 영양, 대사산물의 농도에 영향을 받음)
수분 이 90%, 단백질(알부민, 글로불린, 섬유소원)이 7% 나머지는 유기물질 또는 무기 염류 등이 차지함
'일상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중요성과 책을 많이 읽어야 하는 이유? (0) | 2021.03.11 |
---|---|
성인 및 아동 ADHD 원인과 발병원인 (0) | 2021.03.11 |
성장호르몬의 역할및 성장호르몬의 중요성 (0) | 2021.03.08 |
신체의 수분의 정의 및 필요성 (0) | 2021.03.08 |
발바닥의 중요성 사진이미지 (0) | 2021.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