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운동영양학 생활체육지도자 전공 참고자료
본문 바로가기
생활운동건강자료

운동영양학 생활체육지도자 전공 참고자료

by 만돌이님 2020. 11. 16.
반응형

다섯 가지 기초 식품군(food exchange system : FES)

군 별

식품류

주요 영양소

식 품 명

1. 단백질군

고기, 생선, 알 및 콩류

단백질, 철분, 아연, 비타민 B1, 나이아신 비타민 B12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베이콘토끼고기, 조개, 굴, 두부, 땅콩, 콩, 된장, 달걀, 햄, 소시지, 두유, 치즈, 생선묵

2. 칼슘군

우유 및 유제품, 뼈째 먹는 생선

칼슘, 단백질, 비타민 B2, 비타민A, 비타민 B12

멸치, 뱅어포, 잔새우, 잔 생선,

사골, 우유, 분유,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3. 무기질

비타민군

채소(녹황색, 담색 채소) 및 과일류

무기질 및 비타민

시금치, 당근, 쑥갓, 상치, 풋고추, 부추, 깻잎, 토마토, 배추, 무, 파, 양파, 오이, 양배추, 콩나물, 숙주, 사과, 귤, 감, 딸기, 포도, 배, 참외, 수박, 과일주스, 과일통조림, 미역, 다시마, 파래, 김, 톳

4. 당질 군

곡류(잡곡 포함, 감자류

당질, 단백질, 아연, 비타민 B1

쌀, 보리, 콩, 팥, 옥수수, 밀, 감자, 고구마, 토란, 밤, 밀가루, 떡류, 국수류, 미숫가루, 빵류, 과자류, 캔디, 초콜릿, 설탕, 꿀

5. 지방 군

유지류

지방, 지용성 비타민

참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실백, 채종유, 쇠기름, 돼지기름, 면실유, 들기름, 쇼트닝, 마가린, 깨, 호도

 

 

 

 

소장의 구분 및 소화흡수

∙ 소장은 십이지장(duodenum), 공장(jejunum), 회장(ileum)으로 나뉘며 소화와 흡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마무리되는 곳

∙ 음식물이 들어오면 오디 괄약근 이완➜ 췌액과 담즙이 분비되어 장액과 혼합

∙ 췌액 : 단백질 분해효소(트립신, 카르복시 펩티다제), 탄수화물 분해효소(아밀라아제), 지방 분해효소(리파아제) 함유

∙ 담즙 : 담즙 산염, 콜레스테롤, 레시틴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소화효소는 없다. 지방의 표면 장력을 낮춤으로서 이를 유화시켜 지방소화를 돕는다.

 

소장 점막

∙ 무수한 주름과 보다 작은 구조인 융모 및 미소 융모로 덮여 있다.

∙ 각각의 융모 안에는 모세혈관이 분포되어 확산과 삼투에 의한 수동적 흡수 및 에너지를 소비하는 능동적 흡수를 통해서 유입된 물질 운반

지방의 소화흡수

∙ 소장에서 시작되고 종료

∙ 타액, 위액, 췌액에 포함된 리파아제의 작용과 담즙의 도움으로 분해를 마무리.

∙ 리파아제 :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담즙의 계면활성 작용에 의해 수용성 미셀 형태)

∙ 미즙단계의 지방과 단백질➜ GIP호르몬 분비 자극(소장으로 넘어가는 속도 지연➜포만감)

∙ 수동적인 흡수과정을 거친 지방산은 그 길이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으로 운반.

∙ 킬로 미크론 : 흡수된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 림프순환을 거쳐 혈류에 유입.

 

 3대 영양소의 에너지 생산 세 단계

① 소화관 소화

 

소화관 내에서 각각의 영양소로 분해․흡수된 후 혈액을 통해서 세포 내로 이동되기까지의 과정

 

 

 

② 세포 내 이화 과정의 생성물과 동화 과정

 

운반된 영양소가 세포질에서 동화와 이화 작용을 거치면서 글리코겐이나 단백질 또는 저장 지방으로 재합성되거나 계속적인 에너지 생산과정에 들어가기 위한 형태인 피루베이트와 아세틸 CoA로 변환되는 과정

 

 

 

③ 미토콘드리아 내

산화적 분해과정

 

새로 섭취되어 운반된 영양소나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원이 산소를 사용하는 이화 작용에 의해서 완전히 분해되면서 ATP를 생산해내는 과정

 

 

혈당치의 조절

기준치 : 혈당 90~100mg/100㎖(글루코스의 공급과 절약, 글리코겐 형태로의 저장)

∙ 혈당은 저장된 글리코겐, 조직 단백질, 지질로부터 소량 얻어진다.

∙ 우선 간 글리코겐 이용➜ 근 글리코겐 이용

∙ 근육에서 생성된 글루코스는 직접 혈액에 유입되지 못하고 피루브산으로 산화되거나 산소 간 충분치 못한 상황에서 젖산으로 바뀌며 혈액으로 들어간 뒤, 간으로 옮겨져 글루코스로 재변환

∙ 간세포 : 글리세롤➜ 당신생 과정(gluconeogenesis)➜ 글루코스(혈액 배출)

∙ 지방산 : 베타 산화(β-oxidation)➜ 혈당치의 조절에 이용될 수 없다.

∙ 단백질 : 간에서 글루코스로 변환(기아상태)

∙ 혈당치 유지의 중요성 : 생체 에너지 공급 측면에서 매우 중요

➜ 극심한 기아상태는 조직 기능의 중요성에 의거해 분해(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 우선적으로 분해)

 

글루카곤이 혈중 글루코스 농도에 미치는 영향

① 혈당치가 줄어들면 췌장의 α세포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의 분비 촉진.

② 글루카곤의 혈중 농도 증가는 혈당치의 상승을 유도.

③ 글루카곤이 간과 지방조직에 작용하여 간세포의 글리코겐 분해와 당신생, 지방조직의 지방분해를 자극➜ 지질분해(lipolysis) 호르몬

 

식사 섭취상태의 평가

∙ 영양상태의 평가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4가지 식이 내용 조사방법

① 식품 기록법(food record)➜ 섭취한 모든 식품의 종류와 양 정확히 기록

② 식사 회상 법(dietary recall)➜ 가장 많이 사용(24시간 식사 회상 법)

③ 식품 사용빈도 조사(food frequency method)➜ 체크리스트 이용(식이와 질병관계 연구)

④ 식 사력 법(dietary history)➜ 위 3가지 방법의 조합 및 수정

 

 노화의 진행이 영양학적 건강요인에 미치는 영향(10가지)

① 미각과 후각의 퇴화로 강한 양념이 필요

② 저작능력의 감소로 음식 선택의 폭 감소

③ 갈증을 느끼는 감각의 둔화로 수분 섭취 부족

④ 변비 증세(소․대장기능 약화)

⑤ 해독 기능 저하(간, 담낭, 췌장의 기능 저하)

⑥ 면역기능 저하(단백질, 비타민류 섭취 요구)

⑦ 심폐기능 약화(운동능력 저하)

⑧ 제지 방조직 감소 및 지방 축적

⑨ 골밀도 저하(골다공증)

⑩ 복용 약물의 증가(영양소의 흡수와 필요량의 변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