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1. 에너지 공급과정
1) ATP-PC 시스템(인원질 시스템)
2) 젖산 시스템(무산소 해당 과정)
3) 유산소 시스템
에너지 전환 과정 |
율속 효소 |
자극인자 |
억제인자 |
ATP-PC 시스템 |
크레아틴 카이네이즈(CK) |
ADP |
ATP |
해당 과정 |
PFK |
AMP, ADP, Pi, pH↑ |
ATP, PC, 구연산, pH↓ |
크렙스 회로 |
이소 구연산 탈수소 효소 |
ADP, Ca++, NAD |
ATP, NADH |
전자 전달계 |
시토크롬 옥시다제 |
ADP, Pi |
ATP |
운동부하 형태에 따른 에너지 대사 반응
1) 안정-최대하 운동 시 반응
2) 단시간의 격렬한 운동
3) 장시간 운동
4) 점증 부하 운동: 잠재적인 심장병의 진단이나 최대 산소섭취량을 측정하기 위해 자주 이용
*젖산 역치의 기전: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과정으로 촉진되고 초성포 도산이 충분히 산화되지 못해 젖산으로 전환된다.
산소 부족량과 회복 시 산소 소비
산소 부족량(O2 deficit) : 운동 초기 산소섭취량이 운동에 필요한 수준까지 증가하지 못한 양
(무산소성 대사과정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
★회복기 초과 산소소비량(EPOC)의 원인
빠른 회복 부분(fast componet)
- 운동 중에 소모된 ATP와 PC 재보충 및 근육과 혈액 중의 산소 재보충에 주로 이용 느린 회복 부분(slow component)
- 젖산을 글루코스로 전환하는데 이용
- 운동 후에 높은 심박수와 호흡수를 유지
- 운동 중에 증가된 체온으로 인한 대사항진
- 혈액 중에 남아있는 호르몬
회복기 젖산의 제거
- 젖산의 약 70%가 초성포 도산으로 전환되어 심장근이나 골격근에서 산화, 20% 정도만 글루코스로 전환, 10%는 아미노산으로 전환
- 적정 운동 강도 : 30~40% O2 max로O2 추정
- 호흡상과 에너지 소비량 및 호흡 교환율
- 호흡상(RQ) : 에너지 대사에서 산소소비량에 대한 이산화탄소 생산량의 비율
- (탄수화물; 1, 지방; 0.70, 단백질; 0.82)
- 호흡상과 호흡 교환율
① 호흡상은 세포 내, 호흡교환율은 허파수준허파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비율
② 호흡상과 호흡 교환율이 차이를 보이는 경우: 허파수준에서 가스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때문.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증가로 호흡교환율 증가
젖산을 완충시키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발생으로 인한 호흡교환율 증가
체지방이 증가하고 있는 사람이 고탄수화물식을 지나치기 할 경우 호흡교환율 증가
젖산의 완충에 필요한 중탄산염을 재 보충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보유하기 때문에 일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호흡 교환율 감소(0.7 이하까지 감소)
폐의 용량과 기능
폐활량(VC)=1회호흡량(TV)+ 흡기예비용적(IRV)+호기예비용적(ERV):
흡기 용량(IC) : TV + IRV
기능적 잔기량(FRC) : ERV + RV
총 폐용량(TLC) : VC(TV + IRV + ERV) + RV
1 초율(FEV1.0) 1초 동안 내쉴 수 있는 공기 용적을 폐활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
1초 동안 폐활량의 85%를 내쉴 수 있으면 정상
심각한 폐질환을 가진 경우 40%까지 감소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기도폐쇄의 분계점은 70%로 보고 있음
최대수의 환기량(MVV) :MVV는 최대 운동 중에 측정되는 환기량보다 25% 정도 높은 것이 보통이다.
성인 남자 140~180ℓ, 여자 80~120ℓ, 노르딕 스키선수 최고 239ℓ
운동 중 산 염기의 평형
- 근육의 pH는 동맥혈의 pH보다 항상 0.4~0.6pH 단위만큼 낮다.
- 젖산 완충은 1차적으로 근육 내단백질(60%), 중탄산염(20~30%), 인산 군(10~20%)에 의하여 완충
- 혈액 중의 중탄산염이 주된 완충작용을 하며 헤모글로빈과 혈액 단백질이 보조적인 역할
- 젖산의 증가는 폐환기를 증가시켜 운동으로 인한 산증을 완화시키는 작용
심장 주기와 자극 전도계
자극 전도계
➜ 동방결절 ➜ 방실 결절 ➜ 방 실속 ➜ 좌․우각 ➜ 퍼킨제 섬유
혈액의 기능
① 백혈구는 인체의 방어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
② 혈소판은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 혈액응고에 중요한 역할 수행
③ 혈장(plasma) : 혈액에서 세포 성분을 제외한 액체 성분
④ 혈청(serum) : 혈장에서 혈액응고인자인 섬유 소원(fibrinogen)을 제외한 혈장 성분
⑤ 혈장의 90% 물, 7%→혈장 단백질, 나머지→유기물질, 무기염류 등
근섬유의 형태와 특성
근섬유의 특성 |
ST (type Ⅰ, SO) |
FTa (typeⅡa, FOG) |
FTb (typeⅡb, FG) |
운동신경 1개당 근섬유수 운동신경 크기 신경전도 및 근수축 속도 미오신 ATPase의 활성 근형질 세망의 발달 수 축 력 무산소 대사능력 유산소 대사능력 피로 내성 |
10~180 작 다 느리다 낮 다 낮 다 낮 다 낮 다 높다 높다 |
300~800 크 다 빠르다 높다 높다 높다 중 간 중 간 중 간 |
300~800 크 다 빠르다 높다 높다 높다 높다 낮 다 낮 다 |
★근수축의 유형
① 등척성 수축(isometric) : 근섬유 길이에는 변함이 없이 장력 발생
②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 : 외부의 저항이 일정한 상태에서 근육이 수축 유형
③ 등속성 수축(isokinetic contraction) : 관절각이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근수축
④ 신전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 : 근육이 늘어나면서 힘을 발휘하는 경우
근피로와 대사산물의 축적
① 무산소 해당 과정의 부산물로 생기는 젖산에 의해 근피로 유발
② 운동 중 ATP와 PC가 고갈되면서 축적되는 인산염(Pi, HPO42-)
③ 암모니아가 혈장에 많이 축적되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피로를 유발
④ 근육의 미토콘드리아 내 축적되는 칼슘이온은 재흡수를 감소시켜 근수축에 필요한 칼슘 방출에 지장을 초래함으로써 피로를 유발
피로 해소 방법
에너지원의 보충
① 인원 질의 회복은 회복기 30초 이내에 70% 정도, 3~5분 이내에 100% 회복
② 고탄수화물 식사를 통하여 글리코겐 회복에 주력하면서, 주 2~3일을 초과하여 운동
부산물의 제거
① 정리운동은 운동이 끝날 무렵 10~15분 정도
② 냉온욕의 효과적인 방법은 40~45℃ 정도에서 온욕을 10~15분 정도 한 후 15℃ 정도에서 냉욕을 1~2분 정도(2~3회 정도 반복)
➜ 사우나는 70~80℃ & 5%의 습도를 유지하는 건식 사우나가 좋다.
기타 영양물질의 보충
① 수분 보충과 함께 전해질의 보충이 필수적(스포츠 음료)
② 운동 중이나 후에 4~10℃ 온도의 물을 100~200㎖ 정도씩 자주 섭취
③ 미네랄이나 비타민은 회복과정에서 체내의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
'생활운동건강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드운동과 유산소 운동 하는방법? (0) | 2020.11.30 |
---|---|
코어매트 운동프로그램 방법에 대해서 (0) | 2020.11.29 |
유산소 운동이란 무엇인가? (0) | 2020.11.22 |
골프에 활용되는 밴드 운동으로 할 수있는 방법 (0) | 2020.11.17 |
유산소 운동 종류와 본인에 맞는 선택법 (0) | 2020.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