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지방의 몸속의 기능역할이란?
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건강정보

지방의 몸속의 기능역할이란?

by 만돌이님 2021. 4. 14.
반응형

일부 호르몬을 만들어내고, 장기적인 신체활동을 위한 대체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지방이 필요하다.

또한 특정 지용성 비타민의 저장을 위해서도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칼로리 수치를 늘려 신체를 이화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도움를 준다.

주로 불포화지방을 섭취해야 한다.

 

(포화지방산은 고기를 먹으면서 충분히 섭취한다).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과 리놀렌산은 신체가 만들어낼 수 없으므로 음식에서 섭취해야 한다.

 

가장 좋은 공급원은 연어, 정어리, 고등어, 송어, 아마유 등이다. 체지방과 혈중 지질수치의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지방

섭취를 1일 열량 섭취량의 15%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우리가 음식에서 지방이라고 부르는 것은 실제로는 지질로 구분되는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지질은 유기물질로 구분되며 불수용성이지만 알코올이나 이터와 같은 특정 솔벤트에 용해되기도 한다.

인간에게 중요한 세가지세 가지 지질은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그리고 인지질이다. 이 세 가지는 모두 인체 내에서 중요한 기능들

을 수행하고 있다.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음식에서 지방의 함유량은 대부분의 쿠킹오일에서 보듯이 100%에서부터 과일과 채소에서 보듯이 5-10% 까지의

차이를 보인다.

물론 당연히 지방을 많이 포함한 음식도 있다. 버터, 오일, 쇼트닝, 마요네즈, 마가린, 육류의 기름덩어리.

 

그러나 다른 음식에서는 지방 함량이 높지만 명백히 보이지 않는 것들도 있다.

이를 숨은지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우유, 치즈, 씨, 디저트, 크래커. 포테이토칩 그리고 상업적으로 가공된 음식들은 상당량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5온스의 베이크 포테이토는 145cal 중 3%의 지방을 함유한 반면, 포테이토칩 5온스는 795 cal이며 60%

이상이 지방으로 이루어져있다.

일반적으로, 육류와 우유 종류와 같은 동물성 음식에는 지방, 특히 포화지방이 다량 함유되어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음식의 사려있는 선택과 조리로 상당량의 지방을 줄일 수 있다.

고기에서 지방의 함량은 많은 차이가 날 수 있다.

육류에서 쇠고기와 돼지고기류는 보통 70% 이상의 많은 칼로리를 지방이 차지하고 있다.

트랜스지방산은 자연적으로 쇠고기, 버터, 우유에 소량 포함되어있지만 튀긴 음식이나 시중에 나온 완제품 음식들

특히 마가린이나 칩, 케이크, 쿠키와 같은 음식에는 상당량 포함되어있다.

 

대부분의 식물 음식, 즉 채소, 과일, 콩류, 그리고 자연산 곡물에서는 지방의 함량이 적다.

그리고 이 지방들마저 불포화지방들이다. 반면에 식물에서 너트나 씨, 아보카도는 상당한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불포화들이다. 그러나 코코넛팜 커넬은 총지방량과 포화지방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지질히 인체내에 흡수되면 어떻게 되는가?

지질이 킬로 미크론으로 소화되는 과정은 느리며, 고지방 음식 후에의 흡수는 수 시간이 경과된다.

킬로 미크론은 혈중에서 순환되면서 체내의 다양한 세포, 특히 근세포와 지방조직의 세포와 교류한다.

인지질의 특성은 외곽을 싸고 있는 아포 지방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아포 지방 단백질은 다양한 지단백질이 인체 내 여러 세포의 특정 수용체와 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킬로 미크론 안의 아포 지방 단백질은 효소인 지단백질 라이 페이스와 작용한다.

지단백질 라이 페스는 근육과 지방세포에서 생산되며 이 세포들을 둘러싸고 있는 모세혈관으로 분비된다.

지단백질 라이 페이스는 킬로 미크론으로부터 흡수되며 글리세롤은 일단 간으로 이동되어 글루코스로 전화된다.

킬로 미크론은 간으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근육에서, 지방산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거나 새롭게 만들어진 글리세롤과 합성하게 된다.

이 글리세롤은 해당 작용의 부산물로 만들어진 것인데, 이 합성과정을 통해 근육에서 중성지질로 만들어져 저장된다.

지방세포에서는 대부분의 지방산이 글리세롤과 결합하여 지방세포 중성지질로 저장된다.

대부분의 영양소가 대사 하는 가장 중요한 인체 내의 기관은 간이다.

간은 인체 대사의 교환소이다.

혈액이 간을 지나면서, 간세포는 기본 영양소를 섭취하고 이를 다른 형태로 바꾼다.

간은 글리세롤을 포함한 다양한 영양소를 이용하여 글루코스를 만들 수 있다.

글리세롤과 인지질을 포함한 나머지 킬로 미크론은 간으로 이동한다.

마치 MCTs가 장기에서 직접 이동하는 것과 유사하다. 지방세포는 간을 포함해 인체 내에서 사용할 지방산을 계속적으로

분비한다는 의미에서 대사적으로 활동적이다.

간의 주기능은 이러한 다양한 구성성분들(지방산, 글리세롤, 콜레스테롤, 인지질)을 단백질과 함께 조합하여 다양한

지단백질을 생산하는 데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