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협심증이나 협심증과 같은 증상의 발생
2.수축기 혈압의 현저한 하강(20mmHg)
3.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수축기 혈압의 상승이 없을 때
4.과도한 혈압상승(수축기 혈압이 260mmHg이상, 확장기 혈압이 115mmHg이상)
5.혈류 흐름의 감소로 나타나는 징후(현기증, 착란, 운동 실조증, 창백, 청색증, 오심, 차 고 축축한 피부 등)
6.운동강도의 증가에 따라 심장박동수의 상승이 없을 때
7.심장리듬의 주목할 만한 변화
8.피검자가 중단을 요구하는 경우
9.심한 피로감에 대한 육체적 또는 언어의 표현
10.검사기구가 고장났을 때(측정시스템의 오류가 발생했을 때)
반응형
'운동재활건강처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가압 트레이닝 (0) | 2021.04.19 |
---|---|
허리 손상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운동시 주의점과 팔꿈치손상 (0) | 2021.03.18 |
세라밴드를 활용한 다양한 운동방법 (0) | 2021.02.15 |
혈관동맥경화검사란? (0) | 2021.02.14 |
요통의 치료방법이란? (0) | 2021.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