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ping의 정의
운동선수가 경기력 향상을 위해 의도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거나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이때 사용되는 약물을 도프(dope)라고 부름
Doping test의 목적▶페어플레이▶선수 보호
역사 1886년: 영국 자전거 선수“트리 메틸”과량 복용→약물에 의한 첫 사망 보고 2차 세계대전
미군“암페타민”졸음을 쫓기 위해 사용.
독일군“테스토스테론”돌격대원의 공격성을 높임
1952년: 헬싱키 올림픽, 소련선수“스테로이드”처음 사용
1960년: 로마올림픽, 덴마크 사이클 선수“암페타민”복용 사망.
1967년: 영국 자전거 선수“암페타민”복용 사망.
1970년: 핀란드 육상선수“혈액 도핑”처음 사용.
1988년: 벤 존슨“스테로이드”복용.
1994년: 마라도나“에페드린”복용
약물 복용 금지 1967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의 무위원회를 구성→경기력 향상을 위한 약물 사용 금지함.
1968년: 멕시코 올림픽-처음 약물검사 시행(20종)
1972년: 뭰헨올림픽-약물검사를 의무조항→더 이상의 사망환자는 보고되지 않음.
1975년: 스테로이드 복용 금지됨.
1983년: 카페인, 테스토스테론 금지됨.
1985년: 베타차단제, 이뇨제, 코티코스테로이드 금지됨.
1986년: 혈액 도핑 금지됨.
1988년: 인체 성장호르몬(HCG) 금지됨.
1990년: 에리스로포이에틴 금지됨.
약물남용 관련 기구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무위원회(1967년)에서 매년“금지약물 규정”을 발표함.
금지약물의 분류(IOC, 2003년 1월) 주로 올림픽 기간 동안의 도핑관리담당.
세계 도핑금지 국제기구(WADA;worldanti-doping agency) : 1999년 발족. 경기 기간 이외 의 도핑관리.
각국 정부의 도핑관리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개막전 그리스 코스타디노스 케데리스와 카테리니 사노 도핑테스트를 피하기 위해 교통사고로 위장했다 적발
남자 역도 62㎏급의 레오다니스 삼파니스 약물 양성반응으로 대회 첫 메달 박탈
여자 포환 던지기 러시아의 이리나 코르차넨코 우승했지만 약물반응으로 금메달을 박탈
남자 원반 던지기 금메달리스트인 헝가리의 로베르트 파제카스 약물검사과정에서 부정행위 가발각→25건 적발, 약물과 관련한 징계를 받음.
약물남용(dooping)의 정의와 역사 금지되는 행위 약물검사 금지약물 분류
흥분제(Stimulants)
B. 마약성 진통제(Narcotics)
C. 근육강화제(Anabolic Agents)
D. 이뇨제(Diuretics)
E. 펩타이드 호르몬(Peptide Hormones)
F.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가지는 약물
G. 은폐제(Masking Agents)
혈액 도핑 금지되는 행위
산소전달 증가
혈액 도핑: 경기 기간 6주 전에 채취해 놓았던 자기 혈액을 경기 시작 하루, 이틀 전에 자가수혈 받음으로써 적혈구의 수적 증가에 의한 체내 산소 활용 능력을 키워 도움을 받겠다는 행위를 말한다.
혈액제재: microencapsulated hemoglobin 제품이나 perfluorochemicals, RSR13 같이 산소 활용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제재들을 투여하는 것은 금지다.
아드레날린 유사물질
a) 약물 종류: 페닐 프로파 놀라 민(살 빼는 약), 슈도에페드린(감기약)
b)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력 향상 증거 없음.
c) 부작용: 불안, 초조, 긴장, 두통, 고혈압
카페인
a) 함유물질: 커피(100mg), 차(60mg), 콜라(65mg), 초콜릿바(150mg)
b) 약리작용: 긴장 도향상, 집중력 강화, 이뇨 효과.
c) 허용농도: 소변 농도 < 12mg/L (2시간 안에 8잔 커피)
d)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단시간에 행해지는 경기에는 효과가 적음.
e) 부작용: 과민성, 불면증, 빈맥, 호흡곤란, 콜레스테롤 상승
'운동재활건강처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구선수의 어깨 통증 Internal impingement syndrome (0) | 2021.01.02 |
---|---|
발목과 발의 접힘현상과 손상및 발목해부학 사진 (0) | 2020.12.30 |
운동처방과 피로회복 대해서 (0) | 2020.12.23 |
카이오프랙틱이란? (0) | 2020.12.22 |
전공자들을 위한 운동생리학 기초 (0) | 2020.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