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c99fb8411c72c4c6bec2c4861f73d1f459e65167" 발목과 발의 접힘현상과 손상및 발목해부학 사진
본문 바로가기
운동재활건강처방자료

발목과 발의 접힘현상과 손상및 발목해부학 사진

by 만돌이님 2020. 12. 30.
반응형

발목과 발의 접힘현상으로 인한 손상

 

발목과 발의 해부 (ANATOMY OF THE ANKLE & FOOT)

발목은 발과 다리가 이행되는 곳으로 발목관절이 있는 부위이다.

이 부위에서는 세로로 배열된 다리가 가로로 배열된 발과 이어지기 때문에 모든 인대와 신경, 혈관들은 앞쪽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심부근막이 두꺼워져서 형성된 여러 개의 지지대(retinacula)가 이들 인대와 신경, 혈관들을 발목을 이루는

뼈와 발목관절 쪽으로 붙여 주며 건이 지나치게 팽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발은 몸을 지지해주고 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발은 몸무게를 지탱할 뿐 아니라 움직일 때의 추진력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정도의 탄력성과 신축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발바닥은 활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족궁(arch of the foot) 이외에도 가로 방향의 족궁도 있어 발의 안정성과 충격 방지 및 체중의 적절

한 분배를 가능하게 해준다.

손과 발은 기본적으로 비슷한 구성을 하고 있으나, 손은 쥐고 붙잡는 등 운동성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발은 직립 자세

에서 몸을 지탱하는 구조로 작용하기 때문에 안정성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손에 비해 정교한 운동을 할 수 없다.

 

근육(muscles)

발을 움직이는 근육에는 근육 전체가 발 자체에 위치하는 내재성근(intrinsic muscle)과 근육의 일부는 다리에 위치해

있는 외재성근(extrinsic muscle)으로 나눌 수 있다.

발등에는 발가락을 신전하는 작용을 하는 단지신근(extensor digitorum brevis muscle, 짧은발가락폄근) 한 종류의 넓고

얇은 근육이 있다.

종골 상면의 족근동(tarsal sinus)에서 기시되어 엄지발가락에서 넷째 발가락까지 네 개의 건으로 나누어져 종지한다.

이 중 엄지발가락으로 가는 부분은 단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brevis muscle, 짧은엄지폄근)이라고 하여 단지신근과

구분되는 다른 한 종류의 근육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나머지 3개의 건은 장무지신근의 건과 합쳐져 발가락에 부착된다.

 

이 근육에는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이 분포한다.

단무지신근은 엄지발가락을 배측굴곡한 상태에서 보이거나 만져지는 경우가 있으며 제5요수신경

(5th lumbar spinal nerve)의 기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 근육을 배측굴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발목 해부학 사진

발목염좌 손상부위

발목관절 운동범위와, 발목 접지르는 부위와 손상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체근력이 부족하면 발목접힘현상과 발목손상부위를 이웃들에게 눈에 보이는 그림으로

확인하시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사진을 첨부해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