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지방의 측정
체지방 측정방법
- 직접 측정법 : 수중 체중 법
- 간접 측정법 : 피하지방 측정법(피하지방 두께 측정법), 생체전기저항 분석법, 인체계측 법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
체지방율 측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실용적인 방법
피하지방 두께와 체지방량, 체 밀도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
총 피하 지방량과 총체 지방량, 피지후 측정치의 합과 체 밀도 사이의 상관관계
이용하는 추정 방정식에 따라 견갑골 하단, 겨드랑이 중앙선 등으로 측정부위를 다르게 할 수 있음.
정확한 측정값을 위한 측정기술의 정확성과 경험 필요
생체전기저항 분석 준수사항
생체에 미약한 교류전류를 보내 체내 저항을 측정하여 체수분량으로부터 LBM을 구하는 방법이다
▪측정이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며 신속하다.
▪운동, 탈수, 수분 섭취에 의해 측정치가 변한다
▪체지방율이 마른 사람은 많게, 비만자는 적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다(세장형 대상자는 과대 측정, 비만형 대상자는 과소 측정)
- 검사 전 4시간 동안 식음료를 금한다
- 검사전 12시간 동안 운동을 금한다
- 검사 전 30분전에 배뇨한다
- 검사 전 48시간동안 음주를 금한다
- 검사전 7일 동안 이뇨제 복용을 금한다
체지방 검사
신체 질량지수(BMI) 측정 : 체중(kg)/신장 2(m)2(m)
구분 |
정상체중 |
경계성 비만(과체중) |
(비만) |
남/여 |
20-25% |
26-30% |
30% 이상 |
예) 신장 180cm, 체중 70kg인 남자의 BMI를 구하고 그 값을 이용해 비만 여부를 판정하시오? 70/(1.8) 2 = 21.60, 따라서 정상
- WHR = (허리둘레/힙 둘레)*100, 남자(정상범위 : 0.8-0.95) 0.95 이상, 여자(정상범위 : 0.7-0.85) 0.85 이상은 경계비만 및 성인병 위험률이 증가
지수 |
평가 |
0.9 이상 |
매우 위험 |
0.85 ~ 0.89 |
위험 |
0.76 ~ 0.84 |
위험가능 |
0.75 이하 |
정상 |
예) 엉덩이둘레: 90cm, 허리둘레: 90cm인 남자의 WHR 값과 그 값을 이용해서
위험 정도를 평가하시오? 90/90 = 1, 따라서 매우 위험
- 허리둘레는 배꼽과 수평으로 측정
- 힙 둘레는 엉덩이 둘레 중에서 가장 넓은 부위를 측정
- 복부 : 배꼽 부위
- 팔 : 몸통 옆으로 늘어뜨리고 견봉과 주두의 중간 부위를 측정
- 하퇴 : 무릎과 발목관절 사이의 가장 두꺼운 부분
- 전완 : 팔을 몸통에서 약간 멀리 떨어뜨리고 손바닥을 전방으로 향한 상태로 가장 두꺼운 부위
- 대퇴 : 다리를 약간 벌리고 둔부 주름 아래 가장 두꺼운 부위
피 부두겹
- 측정절차
. 엄지 및 집게손가락으로 측정 부위의 피하지방을 견고하게 잡고 서서히 들어 올린다(4초 이내(4초이내 잰다).
. 피지 후계를 손가락으로 잡은 부위의 위나 아래쪽 1cm 부위에 댄다
. 피하지방을 견고하게 잡은 후 피지 후계의 손잡이를 서서히 놓는다
. 피지후계의 손잡이를 놓은 후 1-2초간 0.5mm까지 피하지방 측정치를 기록한다.
. 최소 2회 측정하고 측정오차가 ±10% 이상 차이가 나면 반복 측정한다.
'생활운동건강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의 개념이란? (0) | 2020.12.09 |
---|---|
본인에게 맞는 세라밴드 강도 설정 방법 (0) | 2020.12.09 |
일반인과 건강인의 운동처방 원리와 이론 (0) | 2020.12.08 |
운 동(Exercise)이란 (0) | 2020.12.08 |
스포츠 영양학이란? (0) | 2020.12.07 |
댓글